[데일리e스포츠 남윤성 기자] "10년간 e스포츠 발전시킨 업계 노력 평가절하"한국e스포츠협회와 10개 프로게임단이 블리자드의 기자 간담회 내용과 관련, 유감을 표명했다.
한국e스포츠협회와 산하 10개 프로게임단은 지난 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파크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폴 샘즈 최고운영책임자(COO) 한국 기자간담회에서 나온 내용이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으며 "한국의 각종 파트너들이 지난 10년 동안 e스포츠 시장을 지금의 위치까지 올려 놓은 데 쏟은 노력을 평가절하한 블리자드에 유감을 표명한다"고 발표했다.
협회는 "협상 초기부터 스타크래프트 게임에 대한 원저작자가 블리자드임을 확실히 했고 지적재산권을 인정해왔다"고 밝혔다. 지적재산권과 관련되어 블리자드의 한국측 대리인인 그래텍과의 협상 과정에서도 지적재산권을 인정했기에 협상을 지속적으로 펼쳐왔으나 원저작자의 권리 인정이 e스포츠 시장에서 감내하지 못할 수준의 내용이어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음을 확실히 밝혔다.
또 블리자드 폴 샘즈 COO가 밝힌 "공공재"라는 표현에 대해서는 스타크래프트 등 e스포츠 종목으로 사용되는 게임들에 대해 "공공재"에 속한다는 표현은 커뮤티케이션 과정에서 곡해된 것이라고 밝히면서 e스포츠가 일반 공중에 대한 시청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이었다고 분명히 했다.
그래텍의 협상안에 대한 구체적인 금액도 공개했다. 그래텍이 요구하고 있는 협상 금액은 프로리그와 온게임넷과 MBC게임 등 2개의 케이블 게임 채널의 개인리그를 합산할 경우 최소 연간 7억, 단순계산만 해도3년 간 20억이 넘는 수준인 데다 그래텍에서는 지속적으로 계약기간 1년을 주장하고 있어 계약기간 종료 후 연장 시에는 얼마를 요구할 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는 한국 e스포츠 시장을 고사시킬 수 있는 무리한 수준이라는 의견도 밝혔다.
협회와 게임단은 선수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기록과 역사에 대해서도 보존하고 있음을 밝혔다. 10개 프로게임단은 선수의 자유를 구속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선수는 계약 주체로서 게임단과 협의를 통해 입단과 퇴단을 결정하고 있고 대학과의 협약을 통해 교육 등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공군 에이스 프로게임단을 통해 병역 기간 동안에도 기량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확보했다고 했다.
이윤열의 은퇴를 예로 들어 선수들의 기록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는 폴 샘즈의 기자회견 내용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이윤열의 은퇴는 소속 팀인 위메이드 폭스와의 계약이 종료된 것이라고 밝히면서 협회가 종용하거나 관여한 부분이 없음을 확실히 했다. 또 선수들의 기록과 수상 실적에 있어도 박탈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한국e스포츠협회는 "지난 10년 동안 e스포츠를 산업으로까지 성장시킨 과정에서 방송사, 게임단, 협회, 정부 등 많은 부분에서 노력을 해왔으나 블리자드는 이를 무시하고 있어 유감을 표한다"라고 밝히면서 "협상을 계속 진행하면서 조속한 타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