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에 비치는 해저에 보물이 있으리라"
몬테크리스토백작이 보물을 찾는 순간에 감격에 겨워 한 말이다.
보물지도는 약속을 지켰다.
언제 죽을지 모르는 감옥에서 만난 귀인에게 건네받은 보물지도 한 장.
햇살이 비치는 해저는 이제부터 펼쳐질 그의 인생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동안 어둡고 고통스러웠던 암흑과 같은 생에 환하게 비치는 햇살.
그 햇살을 담고 있던 보물지도로 드디어 세상에서 가장 부자가 된 에드몽,
즉 몬테크리스토백작은 그 보물로 무얼 사고 싶으냐고 하인이 묻자
이렇게 단호하게 한 단어로 대답한다.
"복수"
억울한 누명을 쓰고 바다 한가운데 있는 샤토 디프 감옥에 갇힌 에드몽은
오로지 복수만을 생각하며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견뎌낸다.
그리고 14년 만에 그 기회를 준 것이 한 장의 보물지도였다.
그에게 보물지도가 없었더라면 결코 가능하지 않았을 일들이 하나둘씩 펼쳐진다.
프랑스의 소설가 뒤마의 <몬테 크리스토백작> 은 소설 작품이기도 하지만,
소설의 모델이 실존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몬테크리스토 백작처럼 보물을 찾는 사람들이 세계 역사 속에서는 꽤 많이 존재했다.
그 중에서도 세상의 동과 서를 연결하던 실크로드를 통해 1904년부터 1910년까지 동양의
보물을 찾고자 하는 보물사냥꾼들이 몰려들었다.
이 실크로드에서 최대의 보물은 둔황 문서고인데, 영국의 고고학자 마크 오렐 스타인은
정부의 위임을 받아 1907년 실크로드를 탐사하면서 둔황의 천불동을 발견하게 된다.
인도에서 중국으로 불교를 전하던 승려들에게 있어 둔황은 침범할 수 없는 성지였다.
366년에 승려 러쭌이 사암 암벽에 1600미터의 동굴을 뚫기 시작했고, 그 이후에 천장화나
벽화가 그려진 다른 작은 석굴들도 탄생했다.
이 동굴을 찾아 헤매었던 스타인은 17번 석굴에서 역사상 가장 오래된 비밀의 문서고를
발견했다.
그곳에는 4만5000종의 불교문서, 그리고 직물과 그림들이 보관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스타인은 불교 미술품과 고문서 1만2000여점을 영국으로 반출했다.
명백한 약탈행위였다.
불교의 고문서들을 손에 넣기 위해 그는 현장스님의 제자로 위장했고 그곳의 책임자인
중국인 승려들을 현혹시켜, 고문서의 값으로 단돈 130 파운드만을 주었다.
이렇게 영국인이 한 번 가져가고, 그 다음에는 프랑스 및 일본인들이 나타나서 그 보물들을
쓸어가 버렸다.
일제 강점기에 우리의 문화재들이 엄청나게 일본으로 빠져나간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이 밖에도 아프가니스탄에서 발굴된 황금유물, 유럽 왕가의 다이아몬드였던 "피렌체 다이아몬드"
나치 독일이 패망하면서 숨겨놓았다는 금괴 등 세상에는 사람들을 유혹하는 보물들이 많이 숨겨져 있다.
그리고 그 보물의 위치를 그려놓은 보물지도 역시 대단한 보물이 되어 버렸다.
간혹 예외도 있겠지만, 보물을 찾아 헤매던 사람들의 대부분이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고 한다.
보물에 대한 지나친 욕심으로 눈이 멀어진 까닭이다.
마치 맨눈으로 태양을 보는 모습과도 같다.
세상에는 자기가 가질 수 없는 것이 있는데, 욕심때문에 그것을 잊어버리면서부터 불행은 시작되는 법이다.
"보물지도가 내 손에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어려운 지경에 처했을 때, 이런 생각을 해 본적이 있는가.
그럼 당장 자신의 손바닥을 보라.
손바닥을 펴보면 지도같은 손금이 있다.
그 손금을 내 인생의 보물지도로 보라.
우리는 세상에 태어나 가장 귀한 보물이 내 손바닥 안에 다 있는데,
정작 그 보물지도의 주인인 내가 그것을 읽어내지 못한다.
그렇다면 진짜 보물지도를 쥐어주어도 그 보물을 찾아내지 못할 것이다.
오늘도 우리에게는 보석같은 하루가 눈 앞에서 반짝이고 있다.
천만금을 주고도 살 수 없는 지금 바로 이 시간이 보물이다.
어린 시절에는 아이들과 보물놀이를 하고 놀았다.
동네 야산의 작은 동굴에 숨겨놓은 구슬치기의 구슬, 작은 인형같은 것,
지금보면 하찮은 그것들을 소중하게 여기던 시절이 있었다.
점점 자라면서 취향에 따라 다른 보물들을 찾게 된다.
청소년기에는 가방이나 옷, 혹은 책을 보물처럼 간직하는 친구들도 있다.
성인이 되어서부터는 실제 보석을 보물로 간직하는 사람들도 있다.
"세상에서 제일 가는 보물은 역시 돈이야"
라는 마음으로 지금도 매주 로또복권을 사는 사람들도 많다.
복권에 당첨되면 화려한 인생이 보장될까?
당연히 그러할 것이라고 짐작하기 쉽다.
이러한 사람들의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미국의 어떤 기자가 엄청난 금액으로 당첨된 사람의
10년 후를 취재 한 적이 있다.
평범한 회사원이었던 그는 당첨금으로 자신이 다니던 회사를 아예 사버리고 말았다.
그래서 그때부터 그는 직속상관인 부장의 잔소리를 더 이상 듣지 않고,
대신 자기 마음대로 경영을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10년후에 기자가 만난 그 주인공은 완전히 망가져 있었다.
몸은 병들었고 회사는 도산직전이었다.
행운의 주인공이라고 주위의 부러움을 샀던 그는, 복권으로 받은 당첨금 만큼의 부채를 지고
완전히 자포자기에 빠져있었다.
그에게 천문학적인 당첨금은 바로 그만큼의 독이었다.
그렇다 보물은 바로 내 작은 손바닥안에 있다.
친구들과 따뜻하게 먹는 밥 한 끼가 나의 건강을 지키는 보물이고,
매달 밀리지 않고 낼 수 있는 집세가 있다면 집 역시도 나의 보물이다.
서로 이야기가 통하는 연인이 사랑의 보물이고,
그네를 타면서 환하게 웃는 아이들의 얼굴이 일상의 보물일 것이다.
그리고 따뜻하게 손을 잡아주는 그대가 내 인생의 가장 큰 보물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