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를 보면서 <폭력의 역사>가 생각나더군요
하지만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폭력의 역사>처럼 폭력성을 보여주지만 인과관계에 대해선 논하지 않습니다.
아니 논했을지도 모르지만 해석의 역량이 부족한 저로서는 못보았을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영화의 맥락이 흔들리지도 않습니다.
이 영화는 비비꼬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이야기를 끌고 갑니다.
데이빗 핀쳐의 <조디악>처럼 노련하며 여유로운 연출을 보입니다.
허나 조디악은 조금은 지루한면이 있습니다.
드라마와 서스펜스의 멋들어진 조화가 좋았습니다.
결론은 <폭력의 역사>를 좋아하신다면 이 영화 역시 재미를 느끼고 보실 수 있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