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스트레포
이 영화의 제목이자 소대의 의무병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영화는 아프카니스탄의 코랜갈계곡에서의 미군과 탈레반 반군과의 전투를 그리고 있습니다.
영화를 보시면 이해되시라 생각되지만 이 계곡에 초소를 세우고 여기 있는 마을과 다른 마을의
도로를 잇기위해서 미군이 있는것 같은데 지리적으로 적에게 매우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미군이 정찰시 탈레반반군들에게 매복을 당해 습격을 당하더군요.
이 전투 때문에 미군은 동료들이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는 경우가 생기는데 결국 의무병 레스트레포가 죽게 됩니다.
아마 이 의무병이 그 소대에서 소대원들이 아주 신임하는 병사였나 봅니다.
계속 매복 당하고 습격 당하는 걸 타개하기 위해 원래의 초소 보다 얼마 더 떨어진 높은곳에 다시
조그만한 초소를 세우게 됩니다.
그 초소 이름이 레스트래포입니다. 죽은 동료의 이름을 붙여준겁니다.
초소를 만드는중에도 전투를 해나가고 만든 후에도 끝없이 전투를 벌입니다.
이 영화는 미국종군기자가 미군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찍은 다큐먼터리입니다.
그래서 일반영화 처럼 액션씬이나 화려한 총격씬 보다는
전투가 벌어졌을때 그 전투 속에서 대처하는 병사들을 위주로 찍었기 때문에
화려하지도 멋있어 보이지도 일반영화처럼 재미있어 보이지도 않습니다.
단지 총알을 피하기 위해 엄페하고 숨어서 적들에게 총을 쏘는 장면뿐이죠.
계속되는 전투가 병사들을 힘들게 하고
동료들이 쓰러져 나갈땐 슬픔과 좌절감을 느끼게 됩니다.
영화중에 계속 그 계곡을 욕을 하더군요.
쉽게 말하면 "이 지랄같은 계곡" 제 생각엔 정말 그 곳에 있기 싫어서 아님 벗어나기 위해
우리도 흔히 쓰는 "X발" 같은 욕이 아닌가 생각되더군요.
솔직히 이 영화 재미는 없습니다.
저는 그냥 담담히 보게 되더군요. 일반인이라면 중간에 접었을 수도 있을겁니다.
만약 진짜 저런 상황이 내게 닥친다면 어떨까라고 전쟁영화를 보고 나면
한번쯤 생각해 봅니다.
저도 군대는 갔다왔는지라 훈련받은대로 잘 해 낼지, 오랜 전투를 견뎌낼지
한마디로 겪어 보진 못했지만 제 생각돼론 되지 않을거란걸 어렴풋이 느꼈습니다.
아마 저도 이 영화의 군인들처럼 끝까지 살아 남아서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그 간절한 마음만이 그 상황을 이겨내게 만들지 않나 싶습니다.
전장의 모든 군인들의 희망이겠지요.
이 영화는 2010년 선댄스영화제에서 전미 다큐멘토리상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미군도 그 해에 그곳에서 철수했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