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 | 유머 | 성인유머 | 음악 | PC | 영화감상 | |
게임 | 성지식 | 러브레터 | 요리 | 재태크 | 야문FAQ |
영화를 보고나서 느낀 점은, 아 저렇게 했겠구나 라는 점. 이건 굉장히 공감이 되는 부분. 소리를 글자로 표현한다는게 쉽지 않고, 현대에도 그 많은 소리를 완벽하게 표현하는 문자가 없고, 그 중에서도 한글이 가장 소리를 표현하기에 자유로운 창조적인 소리글자라고 봤을때 아 저런 과정을 거쳐야 하겠구나라는 공감대가 많이 들었죠. 한글을 창제한 이가 세종이 직접한게 아니라 괴승 신미가 맹활약을 했다는 게 역사왜곡이라며 네티즌이나 학계에서 너무 심하게 평하지 않았나 하는 느낌이 들고, 그 여파인지 흥행은 망했지만, 그래도 여러 면에서 공감이 갔던 영화.
꼭 괴승 신미가 아니더라도 주위에서 한글을 창제했을때 저런 방법으로 접근했겠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죠. 당시에 뜻글자만 사용하고 있는데, 글을 소리로 표현하려면 아무래도 개념을 파괴하고 다른 점근을 해야 하고. 또 유사한 소리글자를 참조해서 틀을 잡아야 가능했을거란 생각. 그러지 않고선 처음에 소리를 표현할 방법이 없을테니.
가장 공감이 되는 부분은 기득권인 양반놈들(관료들)이 당연히 자신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어려운 한자를 백성이 배우지 못하게, 그런 쉬운 문자를 만드는 게 목숨걸고 반대했겠구나, 그래서 세종의 아들과 가족등 최측근들이 서로 도왔겠구나 라는 부분. 지금이나 옛날이나 기득권을 가진 놈들이 역사의 발전을 막았다는 사실. 그래서 자유매국당을 비롯한 토착왜구를 몰아내야 한다는 것을 다시 느끼게 해줬죠.
한글을 만들기 위해 범어(여러 불교어)를 참고했다느니, 심지어 식만사관에 쩌들은 놈들이나 일본놈들은 자기들의 고유문자를 모방했다느니 하는 소리를 하는데, 당연히 자기가 이해하지 않으면 안되는 세종의 성격상 여러 문자에 대해 공부를 했을테고, 그 중에 가장 뛰어난 소리문자를 창제했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느니만큼, 영화에서 보여준 문자를 만드는 접근 방식은 좋았다고 봅니다.
역사 영화라는게, 정설보다는 야사, 또는 이랫을거라는 추측이 가미되는 경우가 더 많고, 또 다른 학설을 인용하는 것도 하나의 재미라고 봤을때, 사영전이나 상영 초기에 너무 설레발을 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역사극이나 역사영화가 정사에는 단 한줄 나온걸 가지고 극작가가 창작해서 하는 경우가 많은 걸 봐서는. 역사책에는 대장금이란 부분이 단 한줄 나오는데 그거 미니시리즈로 만드는데.
역사왜곡이란 걸 말하려면, 차라리 말도 안되는 퓨전사극이란게 더 문제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