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ggle navigation
공개방
유머
음악실
컴퓨터
게임
영화감상
성지식
러브레터
요리
낙서
재태크
자료실
유틸리티
웹소스
메뉴얼
작가게시판
개인게시판
대화방
소스 구매
로그인
ID/패스
로그인
로그인
전송
일반 회원등록
정보보기
정보변경
자주묻는 질문(FAQ)
게시판 글 순위
총 덧글 수 순위
1
sonita
(75903)
2
babomaster
(64839)
3
dancer99
(54784)
4
라크슈미
(49436)
5
하하아빠
(43486)
6
정민
(43118)
7
다크맨
(39757)
8
messiahn
(35917)
9
cto486
(34736)
10
zipin74
(32947)
11
인중인
(30810)
12
colore
(29109)
13
kimjaiil
(28298)
14
위태천
(26821)
15
환한웃음
(26343)
1
2
3
4
5
6
7
8
9
10
▶
총 게시글 수 순위
1
hanstalin
(15452)
2
소라와놀자
(11380)
3
야설의뒷문
(9872)
4
youmg
(8427)
5
yeeyuu
(6463)
6
ggoltong
(5706)
7
darlcom
(5483)
8
중앙통제실(X)
(5299)
9
ajin834
(4626)
10
art98
(4322)
11
maejuda
(4044)
12
kklist21
(4000)
13
lean
(3613)
14
gura892
(3602)
15
jennifer
(3479)
1
2
3
4
5
6
7
8
9
10
▶
게시글 점수 순위
1
hanstalin
(81102)
2
소라와놀자
(72309)
3
art98
(51742)
4
ggoltong
(50526)
5
야설의뒷문
(48136)
6
중앙통제실(X)
(37737)
7
audi88
(36352)
8
lean
(33971)
9
yeeyuu
(30266)
10
javawork
(27325)
11
darlcom
(27059)
12
youmg
(26892)
13
maejuda
(26044)
14
happyday12
(24920)
15
ajin834
(24414)
1
2
3
4
5
6
7
8
9
10
▶
추천 점수 순위
1
소라와놀자
(370479)
2
ggoltong
(165728)
3
lean
(130237)
4
art98
(90624)
5
해보기
(77130)
6
중앙통제실(X)
(70643)
7
야설의뒷문
(64115)
8
pgt1
(52665)
9
해오름달
(50329)
10
eveclub
(36339)
11
hanstalin
(35982)
12
osteo
(35143)
13
달땡이
(34758)
14
messiahn
(33433)
15
바가지
(32014)
1
2
3
4
5
6
7
8
9
10
▶
쓰기
야문은 서로를 존중하는 곳입니다.
낙서
유머
성인유머
음악
PC
영화감상
게임
성지식
러브레터
요리
재태크
야문FAQ
낙서
유머
성인유머
음악
PC
영화감상
암/복호
게임
성지식
러브레터
요리
재태크
야문FAQ
음악 게시판
좋은 음악들 ~ 세세한 설명이 있다면 더욱 좋겠지요.
<
쓰기
수정
삭제
답장
목록
>
드보르작//현악 사중주 F장조 Op.96 "아메리카
콜보스
| 추천 (4) | 조회 (523)
2010-01-13 06:58
Antonin Dvorak (1841~1904)
String Quartet No.12 in F major Op.96 American
Juilliard String Quartet
1. Allegro ma non troppo
2. Lento
3. Molto vivace
4. Finale, Vivace ma non troppo
현악 사중주 아메리카는 신세계로부터와 마찬가지로 미국 체재 중에 작곡했으며,
신세계로부터에 못지 않는 내용을 갖고 있다. 그는 이 곡을 만듦으로써 완전히 미국
음악의 정신을 파악했다고 믿고있다.
제1악장 Allegro ma non troppo. 주제는 「신세계로부터」에서 나오는 낮게 튀
어라, 내가 탄 마차」의 민요와 비슷하게 미묘하고도 아름답다. 제2악장 Lento. 바이
올린의 절묘한 노래에, 다른 현이 자유로운 리듬을 연주하며 따르고, 비올라의 정다
운 악구가 나타난다.
제3악장 Molto vivace. 교묘하게 뒤섞인 가락 속에는, 말할 수 없이 그리운 가락
이 깃든다. 제4악장 Vivace ma non troppo. 제3악장에서 축적된 활기는, 이 악장에서
맹렬한 힘으로 분출되고 있다.
Robert Mann, violin / Earl Carlyss, violin
Raphael Hillyer, viola / Claus Adam, cello
<
쓰기
수정
삭제
답장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