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ID/패스
낙서 유머 성인유머 음악 PC 영화감상
게임 성지식 러브레터 요리 재태크 야문FAQ  
[Re:1881]우리말 바로 알기 18번에 오류가...
잉크맨 | 추천 (0) | 조회 (538)

1999-10-22

꾸준히 올려주시는 우리말 바로 알기를 관심있게 보고
도움도 얻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회에 나온 며칠은 몇일과 서로 두가지 뜻을 각각 가지고 있는데 혼동이 된듯합니다.

몇일은 how many의 뜻이 있고
며칠은 한 2~3일 정도의 날을 뜻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자어와 우리말의 뜻 겹치는 현상은 그냥 관용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역전앞 술주정등이 모순을 지녔지만
우리의 언어 감각에는 오히려 맞는 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어차피 외래어로 받아 들였는데 우리 말과 동화 되려면
우리의 말 감각과도 어우러져야 되지 않을런지요.
과반수가 넘는다고 해야 속이 시원하지
과반수다. 하고 그만 두면 밥 먹고 입가심 안 한 것 같지 않습니까?

계속 이어 주시기 바랍니다


hanalm 님의 말씀
------------------------------------------------

한글 한자 중복 사용하기 쉬운 말

흔히 어휘 선택에 따라 그 사람의 성격이 정해진다고 합니다.
그만큼 순화된 말, 간결하지만 뜻은 분명한 말을 써야 합니다. 좀 더 크게
생각하면 어느 한 민족이 쓰는 언어 속에는 그 민족의 얼이 담겨있는 셈입니다.

우리는 문법적으로 틀린 말도 많이 하고 무분별하게 외래어를 많이 섞어
쓰기도 합니다. 그리고 영어의 영향을 받아서 쓸데없이 피동형의 말을 자주
합니다. 이런 문제점 말고도 좀처럼 없어지지 않는 말이 있는데, 바로 겹치는
말이 많다는 것입니다. 며칠{몇 일(日)} 날, 역전(前) 앞과 같은 말이 바로
그 예입니다. 그냥 '며칠(몇 일), 역전' 이라고 하면 될 것을 같은 뜻의
우리말과 한자어를 겹쳐 쓰고 있는 것입니다.

교통정보를 듣다보면 '시내 안쪽 도로'라는 말도 자주 쓰는데 이것도 같은
경우입니다. 시내(市內)란 말에 이미 안(內)이라는 뜻이 있는데도 중심지란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안쪽이란 말을 더한 경우입니다. 이렇게 쓸데없이 말을
겹쳐 쓰는 예는 생각보다 정말 많습니다. <판이(判異)하게 다르다. 과반수
(過半數)가 넘다. 순찰(巡察)을 돌다. 술 주정(酒酊), 장마 비 등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판이하게 다르다'에서는 이미 다를'이(異)' 자가 있고, '과반수가 넘다'에도
한자 '과(過)'가 있어 '넘는다'란 뜻이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순찰'도 이미
그 낱말 안에 어느 지역을 한바퀴 돌아보다란 뜻이 담겨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정'과 '장마'에도 '술'과 '비'라는 뜻이 들어 있어 말해봐야 비경제적이기만
합니다.<자료원, TBS 교통방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