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alm
| 추천 (0) | 조회 (484)
1999-10-29
항간에서의 소문과 항간의 소문
지금 우리들이 사용하는 단어를 잘 살펴보면 일본어 단어를 그대로 쓰거나
일본어식 한자어를 그대로 우리식 발음으로 읽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본어가 우리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단순히 단어의 문제가 아닌
조사의 사용이라든가, 문장의 종결 표현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권위에의 도전'또는 '항간에서의 소문'과 같은 표현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우리말에서 '의'와 같은 관형격 조사는 대체로 다른 조사 뒤에 붙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그런데 앞의 예에서 보신 바와 마찬가지로, 일본어의 영향으로 조사 '에'
또는 '에서' 에다 관형격 조사 '의'를 붙여서 우리말답지 않은 이상한 표현이
된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권위에 대한 도전'이나 '항간의 소문'으로 고쳐서
말해야 우리말 어법에 맞는 표현이 됩니다.
그리고 간혹'~과 같다','~과 마찬가지다'의 뜻으로 '~에 다름 아니다'라는
표현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 말도 일본어의 영향을 받아서 생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료제공 : KBS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