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 | 유머 | 성인유머 | 음악 | PC | 영화감상 | |
게임 | 성지식 | 러브레터 | 요리 | 재태크 | 야문FAQ |
|
전남 함평군이 관광객 유치를 목적으로 만든 순금 황금박쥐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국비 등 예산 수십억원을 쏟아 만들고선 수년째 전시관에 방치하기에 그쳐 정부와 전남도가 이를 수수방관했다는 것이다.
함평군 관계자는 “2010년 이후 정부와 전남도가 황금박쥐를 황금박쥐생태전시관에 놔둬도 전혀 개입이 없었다”고 18일 밝혔다. 정부 등은 황금박쥐에 든 예산 30억4,000여만원과 황금박쥐생태전시관에 투입된 예산 18억원에 각각 국비 10억원, 9억원이 포함돼 활용 실태 점검 등에 소홀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황금박쥐와 생태전시관에 국비 수십억원이 소요됐고, 지역 상징성을 드러내는 아이템인데도 수년간 방치된 것은 정부와 전남도, 함평군 등의 행정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전남도의 한 공무원은 “혈세를 들여 만든 황금박쥐를 활용하기 어렵다면 매각해 주민복지 예산으로 쓰거나, 관람객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군수 사비로 황금박쥐를 제작했다면 이렇게 방치하지 않았을 것”이라 말했다.
함평군은 이석형 군수 재임 당시인 2008년 예산 30억4,000여만원을 들여 순금 162㎏, 은 281.39㎏ 등을 사용해 순금 황금박쥐상을 만들었다. 황금박쥐생태전시관은 매년 나비축제(5월)와 국향축제(10월) 기간(각 1주일 내외)을 제외하곤 자물쇠가 잠겨있다. 함평군은 매년 순금 황금박쥐 작품 보험료로 예산 2,000만원을 지출하고 있다. 2010년 1월부터 2월까지 신세계 부산 센텀시티점에 4,900만원의 임대료를 받고 순금 황금박쥐를 임대한 것 외에는 수익사업이 전혀 없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출처 : https://sedaily.com/NewsVIew/1OJSRK4SBH
올해 뉴스
함평 황금박쥐 조형물[전남 함평군 제공]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순금으로 만들어진 80억 원대 조형물을 훔치려고 쇠망치까지 들고 나타난 일당이 문도 열지 못하고 줄행랑을 쳤다.
15일 전남 함평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 35분께 함평군 함평읍 황금박쥐 생태전시관에 모자와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남성 3명이 쇠망치와 절단기(추정)를 들고 찾아왔다.
이 전시관은 순금 162㎏, 은 9㎏, 동 13㎏으로 만들어진 85억원 상당의 '황금박쥐 조형물'이 전시된 곳이었다.
주변을 두리번거리던 이들은 이내 전시관 입구에 잠겨있는 철제 셔터 자물쇠를 절단기로 잘라내고 문을 열었다.
하지만 허름해 보이던 이 철제 문에는 사설 경비업체의 경보장치가 설치돼 있어 곧바로 경보가 울렸다.
화들짝 놀란 이들 일당은 허둥대며 타고 온 차량을 이용해 곧바로 줄행랑을 쳐야 했다.
황금박쥐를 훔칠 때 사용하려고 가져온 쇠망치는 구석에 고스란히 남겨둔 채였다.
경찰은 이들이 사용한 쇠망치를 수거해 정밀 DNA 감식을 하는 한편 폐쇄회로(CC)TV 분석 등을 통해 이들을 추적하고 있다.
전시관 관계자는 만약 이들 일당이 내부 침입에 성공했더라도 황금박쥐 조형물은 훔치지 못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출입문에서 전시관 안쪽으로 50m가량을 더 들어온 지점에 황금박쥐 조형물이 전시돼 있는데 그 앞에는 또 다른 철제 문으로 잠금을 해 놓았다.
황금박쥐 조형물이 들어있는 케이스는 방탄유리로 되어 있어 쉽게 부술 수도 없다.
전시관 관계자는 "박쥐 주변 조형물까지 포함하면 무게는 570㎏이 넘는다"며 "방탄유리에 들어있는 채로는 사람의 힘으로 들고 갈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함평군은 한반도에서 멸종한 것으로 알려졌던 황금박쥐가 1999년 대동면 일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고 생태환경보존에 대한 이미지를 알리기 위해 2007년 홍익대에 의뢰해 제작했다.
당시 매입한 순금 시세는 모두 27억원이었지만 지금은 금 시세가 올라 금값만 8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함평군은 조형물이 도난당했을 경우 전액을 보상받을 수 있는 보험에 가입하고 무인경비시스템 등을 도입하는 등 혹시 모를 도난 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올해 댓글 반응은 지자체에서 금테크 멋지게 했다고 칭송으로 변신.
신안군에서도 이세돌 기념하기 위해 금으로 바둑판 만든다고 하던데 문제는 함평에서 황금박쥐 제작당시 금시세는 한돈에 6만 초반
지금은 20만원이 넘어 간다는 사실입죠.
그래도 쓸데없는 동상 만들어서 혈세 낭비 하는것보다는 낫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