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ID/패스
낙서 유머 성인유머 음악 PC 영화감상
게임 성지식 러브레터 요리 재태크 야문FAQ  
Re:한국은 어떻게 지금까지 코로나19에 잘 대응했나
환한웃음 | 추천 (34) | 조회 (349)

2020-03-20 15:49

학고님께서 훌륭한 글 올려 주셨는 데 한 숟갈 올리고 싶어서 답글 답니다.

 

댓글로 달랬더니 링크 땜에 안되서 ㅋ

 

이게 좀 웃픈 건데요


뒤늦은 if문 던져도 그냥 한국만이 코로나19를 막을 수 있었던 이유가 한국이 메르스 방역을 아직도 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12월-1월에 코로나19가 한국에 들어오는 걸 최대한 막을 수 있었고요.
http://nih.go.kr/board.es?mid=a20301021001&bid=0002&tag=&act=view&list_no=365236

메르스 악몽에 그나마 WHO가 두들겨 패서 503때 예산 받아낸 걸로 틀을 갖춘 상황에<-메르스 이후 역학조사관 연수교육 받으러 WHO가고 걔네 가이드로 지금의 방역시스템을 재정비했습니다. 이건 아래 제 글에 있죠. 의도를 가지고 WHO 공격하는 한국 언론입니다.

게다가 503당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BT관련 산업발전 기획예산을 담당했던 홍남기 차관이 현 경제부총리고
https://www.bioin.or.kr/board.do?cmd=pop&bid=todaynews&num=259083
질본 만들 때 청와대 멤버였던 문재인비서실장이 대통령인 덕에

무엇을 언제 어떻게 해야 할 지 대통령부터 정책협의라인, 실무결정라인(질본), 심지어 현장의 의사들까지 코로나 바이러스 자체에 대비가 잘 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1월 되서 문제 발생하자 마자 지금 다른 나라들이 땅을 치고 후회하는 모든 관료제적 병목현상이나 실제 생산설비와 방역관련 문제가 하나도 발생하지 않고 오로지 시민의 안전만 생각하며 방역관련 업무들이 물 흐르듯 갈 수 있었던 거.

게다가 신의 한수가 코로나19 잦아들자 마자 방심하지 않고 폐렴증상자 전수 조사로 확대한 거. 이걸로 31번 잡아내면서 숨어 있던 것까지 찾아내 지금 상황이죠. 다른 나라들은 방역은 포기하고 치료 및 관리단계로 간 상황.

이건 WHO가 모범 사례로 꼽을 수 밖에 없게 자신들이 말한 컨설팅 대로 한 유이한 국가이자 민주주의 국가에 적용 가능한 성공 모델이어 오늘 WHO가 한국식 사례로 앞으로 18-20개월 최대 36개월 갈 이 코로나19사태 해결을 위한 국가 모델로 꼽겠다고 한 겁니다. 

 

우리도 이제 관리단계로 가야 하는데 사람들이 너무 방역에만 몰입해서 걱정입니다. 정 본부장님이 괜히 그 이야기한 게 아닌데; 이제 마스크 쓰고 사는 새로운 생활환경에 익숙해져야 할 시기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