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ID/패스
낙서 유머 성인유머 음악 PC 영화감상
게임 성지식 러브레터 요리 재태크 야문FAQ  
응?...음....으응???...후움....
자유성 | 추천 (4) | 조회 (641)

2021-10-13 21:53

코로나....뭐 짱께가 만든거든....박쥐가 선물한거든....어쨋든 코로나19....

 

그래서 펜데믹인데....

 

하...근데 펜데믹은 펜데믹으로 끝나야 하는건데....

 

여기에 정치니 경제니 너도 한숟갈 나도 한숟갈 얹어대니 점점 개판이 되어가네요...

 

--------------------------------------------------------------------------------------------

 

접종완료자 비율이 많아질수록 돌파감염자 비율도 높아질수밖에 없다???

 

뉴스에 나온 가천대 교수라는 사람이...돌파감염 20%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더군요

 

접종자 50명 비접종자 50명을 대상으로 한 그룹에서 돌파감염비율이 20%라는것은...

 

접종자 그룹에선 50명중 2명만 확진이 된것이고...비접종자 그룹에선 8명이 확진이 된것이다....??????

 

제가 비록 학교다닐때 수학같은거랑은 담 쌓고 산건 맞긴 한데....그래서인가??? 난 도저히 저게 무슨말인지 이해가 안가네요

 

 

" 돌파감염자의 비율 " 이라는 제목을 놓고 답을 구하려면...

 

100명의 접종완료자를 대상으로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노출을 시킨 다음 그중 몇프로가 확진이 되었는지를 따져야 하는거 아닌가요?

 

애초에 누가 바이러스에 노출이 되었고 누가 노출이 안되었는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돌파감염 비율 자체를 따질수가 있는건가요??

 

 

그런데 아니러니하게도 최근에 의도적이진 않았지만 이러한 실험환경이 완비되어 데이터를 준곳이 있죠

 

군부대...양로원...또 한군데는 어디였지??? .... 세군데 시설이 바이러스에 노출되었는데 대상자는 모두 접종완료자였다...

 

얼핏 봐서 정확히 비율을 따져보진 않았는데...대충 봐도 돌파감염 비율이 80% 이상이었는데???

 

 

아니 뭐 그건 그렇다 치고....지금 뭐 현재의 돌파감염률이 잘못 되었다는걸 얘기하려는게 아니니까요

 

접종완료자 비율이 높아지면...돌파감염자 비율도 높아질수밖에 없다.........왜죠? 왜때문에?????

 

만약에 이 명제의 배경이 이런것이라면....

 

50명의 접종자와 50명의 비접종자가 있는 그룹에서 10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이를 단순히 비율로만 나누어 100명중 10명이니 10%...접종자와 비접종자의 비율이 1:1 이니 5%...라고 정의하는거라면...

 

이제 비접종자 50명중 20명이 더 접종을 맞아서 비접종자 30명과 접종자 70명이 있는데...여기서 10명의 확진자가 나왔을때...

 

똑같은 10% 인데 접종자 : 비접종자 비율은 7 : 3 이므로 돌파감염이 7%로 계산된다...

 

그래서 접종완료자가 많아지면 돌파감염자 비율도 높아진다??? 이런 계산이라면.....

 

애초에 접종자 비율이 70% 이든 50% 이든 확진자 생산량이 같다면 백신의 효능은 전혀 없다는것...

 

즉 백신을 맞든 안 맞든 100명중 10명은 확진이 될 사람이고 90명은 확진이 안될 사람이라는 얘기인데요????

 

 

백신은 면역을 위해 맞는게 아니다?

 

백신업체들의 공식입장에서 지난달부터 슬그머니 "면역" 이라는 단어가 빠져버렸네요

 

사실 그게 정상일수도 있습니다

 

초기 코로나19 유행 당시 감염되었다 회복해서 코로나19 항체까지 보유하고 있던 사람이...델타변이에 다시 감염된 사례가 있죠

 

한 두달인가 석달전 뉴스였는데...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결국 사망했다 라고 나왔던거 같습니다

 

화이자나 모더나나 초창기 코로나19 원형모델을 연구해서 백신을 만든건데...

 

계획한대로 정말 잘 되어서 항체가 생긴다 한들...델타변이에는 감염 될수가 있다는거죠

 

아마 그래서 "면역" 이라는 단어는 지운걸거고...아마 제 생각엔 지금 연구실에서 델타변이에 대한 백신을 연구중이지 않을까 싶은데...

 

그렇다면..상식적으로는...

 

" 지금 존재하는 백신은 원형에 대한거고 현재 유행하는 종은 95% 이상 델타변이이니 접종을 멈추고 델타변이용 백신을 기다리자 " 가 맞는건데...

 

뜬금없이 " 위중증 발전도를 줄여준다 " 라고 하면서...2차까지 다 맞고 6개월 있다 또 맞자....라고 하네요 ????

 

현대의학이 발전한 이후 나왔던 수많은 "백신"의 용도가 면역이 아닌 "위중증 감소" 였던 경우가 있었나요???

 

 

위드코로나를 위해선 백신접종률이 높아야 확진자가 줄어든다??

 

목적이 면역이 아닌데?? "위중증 감소"가 목적이라면서요

 

상식적으로 생각해봅시다

 

백신을 맞아서 경증이 되었다고 칩시다

 

병원 입원할 필요도 없고 특별한 증상도 없고...그냥 확진자...그러니까 알아서 집에서 자가격리 해라....

 

뭐 유럽사람들보단 말 잘듣는 편이긴 합니다만...2년동안 통제하면서 봤잖아요...얼마나 말 안 들어쳐먹는지...

 

그리고 소위 " 무증상 확진자 " 가 그만큼 많아지고 많이 돌아다니며 전파하게 된다는 이야긴데...

 

그것보다는 차라리 정부말대로 백신 안 맞으면 중증으로 가서 병원에 입원해야 한다면...

 

백신 접종율이 낮은게 확진자들은 병원에 격리되니 확진자들의 전파율은 훨씬 떨어지겠네요

 

 

그런데 백신접종 완료자는 백신패스를 발급해서 프리하게 돌아다닐수 있고...

 

백신을 안 맞은 사람은 통제하겠다...

 

이거 뭔가 거꾸로 되었다는 생각은 나만 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