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ID/패스
낙서 유머 성인유머 음악 PC 영화감상
게임 성지식 러브레터 요리 재태크 야문FAQ  
목돈을 굴리는 방법으로는 뭐가 좋을까요?
tuttleroad | 추천 (0) | 조회 (639)

2010-10-29 03:13

덧글이 길어지는 것 같아서 답글로 답니다..
 
퇴직금이라 함부로 고위험 자산 투자에 나서시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목돈을 안정적으로 굴리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 곳에 쓰임새가 있는 돈이기 때문에 환금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부동산에 목돈을 투자했다가 급전이 필요해서 다시 내놨는데 시장이 위축되어서 눈물을 머금고 헐값에 내놓은 경우는 없어야 하지요..
 
1. 은행 정기 적금
금리가 장기적으로는 상승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6개월 혹은 1년단위로 갈아타면서 보수적으로 운영하는 방법입니다. 현재 실질 금리가 물가 상승분을 보전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추가 이익을 원하신다면 그리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겠죠. 약간의 손해를 감수한다면 환금성 면에서 문제는 없습니다.
 
2. 부동산 투자 펀드
코크렙15호와 유사한 유형들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부동산에 (상업용 부동산입니다. 따라서, 현재 주거용 부동산 불황과는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투자하여 리모델링 이익 혹은 임대 수익을 통해서 매년 일정액을 배당해주는 펀드입니다. 청산시에 이익을 돌려주는 옵션도 있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정기 적금보다는 훨씬 높은 이익 (약 년 8%정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코크렙은 상장된 종목으로서 증시에서 거래가 가능한 종목이니 환금성도 좋습니다.
 
3. 보수적인 ELS 투자
ELS 중에는 원금 보장 옵션이 극단적인 것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예를 들면 KOSPI200이 가입 시점보다 50%이하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연 8%이율 보장 같은 것이죠.. 이런 상품들을 잘 찾아서 주로 선진 시장 지수와 연동된 상품을 잘 구매하시면 안정적인 투자를 하실 수 있습니다. (예상 이율 연 8~10%)
문제는 환급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예상과는 달리 만기까지 가는 경우가 생긴다는 점. 즉 목돈이 장시간 묶이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4.  배당주 투자
역사적으로 고배당 정책을 유지하는 회사들 (주로 정유 회사같이 외국인 지분이 많거나 진로 발효같이 대주주 지분이 극단적으로 높은 회사면서 사업이 저성장 저경쟁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의 최근 실적을 검토한 다음 몇 개의 회사에 분산 투자를 하는 방법입니다. 배당금을 노리실 수도 배당 전의 시세상승을 노리는 방법 2가지 다 유효합니다. 회사를 고르기 어려우시다면 배당주에 중점 투자하는 펀드도 있습니다. (동양종금) (예상 이율 연 5~20%)
 역시 직접 투자의 형태이기 때문에 환금성 면에서 유리합니다.
 
참고하셔서 성투하시길 바랍니다.